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터

인포커스 ScreenPlay 777 3판식 DLP 프로젝터

Posted by hifinet on 01/31 at 08:52 PM
이종식(podol01@hananet.net) 2005-01-29 16:18:29

들어가기 전에...

이 리뷰는 하이파이넷에는 처음 올리지만 작년 9월호 <월간 오디오 & 홈시어터>에 실렸던 필자의 평가에 대한 Follow Up이라고 볼 수 있다.

당시에 필자는 이 기기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었고 그로 인해 상당한 논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삼판식이라서 컬러 세퍼레이션 아티펙트(CSA-일명 무지개 현상)가 없다는 점 빼고는 천만원 미만의 단판식 DLP프로젝터보다 못하다"라든가, “불 켜고 볼 것 아니라면 최소한 150인치..이상적인 사이즈는 200인치 정도는 되야하며 스크린이 커진 만큼 시청 거리도 늘어나야 한다"는 둥 한마디로 눈 먼 돈이 아니라면 사지 말라는 인상을 짙게 풍기는 리뷰였다.

4천만원이 넘는 기기를 여러 대 수입해 놓았던 수입원에서는 필자의 리뷰에 상당한 섭섭함을 표시했고 이 때문에 이곳 하이파이넷과 좋은 관계를 유지해 왔던 수입원과 동료 필자들마저 관계를 껄끄럽게 만드는데 일조(?)를 했다.
대개 너무 부정적인 평가가 내린 제품은 잡지에 아예 리뷰가 빠지거나 상당 부분 수정이 가해짐에도 불구하고 필자의 리뷰를 그대로 게재한 <월간 오디오> 편집부의 결정도 놀라웠지만 하여간 리뷰에 연관된 모든 관계자들을 불편하게 만들기에 부족함이 없었던 해프닝이었다.

같은 잡지에 Follow Up 기사를 올릴 것도 이야기가 나왔으나 먼저 번 테스트가 잘못된 것이 없었다고 생각한 필자는 새로 써도 “천만원 미만 제품보다도 못하다는 말은 사실이지만 잊어 주세요"라고 쓸 수도 없고 이미 지적한 단점을 순화시켜서 다시 표현할 마음도 없었기에 그냥 나가리 시킨채 몇 달이 흘렀다.

그런데 지난 12월 열린 디지털 AV쇼에서 GLV의 부쓰에서 전시된 777을 다시 보고는 뭔가 이상함을 느꼈다.
게인이 낮은 그레이 계열의 150인치 스크린이었기에 지나친 밝기는 통제가 된 상태였지만 전체적인 영상이 필자가 테스트했던 때의 그림이 아니었다.

이로 인해 필자는 혼란이 일었고 리뷰가 잘못되었는가 의구심이 들었다.
만일 잘못된 리뷰로 멀쩡한 제품을 그리 깎아 내렸다면 이는 심각한 실책이기 때문이다.
알아 본 결과 1차분으로 수입되었던 네 대는 모두 문제가 있었고 전부 리콜되어 문제를 해결한 뒤 다시 들어 온 제품이었다.

워낙 필자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에게 피해를 줬던 리뷰였으므로 필자가 껄끄럽게 느껴졌던 단점이 보완된 제품이라면 스스로 자청해서 다시 테스트하길 원했고 전의 리뷰와는 달랐기에 당당히 그 결과를 올린다(물론 그때보다 향상된 점이 없었다면 이번 리뷰도 없었을 것이다.)

미리 언질을 주자면 인포커스 777은 이미 전에 리뷰할 때에도 지적했지만 그 색상의 정확성과 그레이스케일 트래킹의 평탄성, 컨트라스트, 렌즈부 등 필자가 평소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문에서는 대단히 우수한 제품이었다.

문제는 일반 가정의 100인치 정도 스크린에서는 통제가 안될 정도의 밝기와 계조 표현력이었다.
이번 리뷰에서는 전에 썼던 리뷰와 밝기와 계조의 문제점 보완에 대해 합쳐서 재구성하였다.
사용한 스크린과 측정기구 및 측정에 사용한 소스 기기는 동일했으며 단지 이번에 새로 나온 블루레이 레코더/플레이어를 통해 HD 소스를 감상한 것만이 바뀌었다.

들어가며

인포커스의 3판식 DLP 프로젝터인 스크린플레이 777이 수입되었다.

777은 마란츠 VP-10S1, 바코 시네버숨 110과 120, 심2 HT500 등과 더불어 몇 안 되는 하이엔드급 홈시어터용 3판식 DLP 프로젝터이며 같은 HD2+ 패널을 사용하는 단판식 제품들에 비하면 상당한 대형으로 소니 퀄리아 004나 7인치급 삼관 정도의 크기이다.

번쩍이는 피아노 블랙의 글로시 마감에 전면은 마치 사람의 눈같이 생겼고 위에서 보면 몬스터 딱정벌레나 풍뎅이를 연상시키는, 한마디로 좀 튀는 디자인이기도 하다.

1500 시간 수명의 250W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며 스크린플레이 시리즈의 다른 하급 기종들과 마찬가지로 777에도 파루쟈/제네시스의 FLI2310 DCDi 프로세서를 채택했다.

입력단으로 기본적인 컴포짓이나 S-비디오 단자들 외에 두 조의 컴포넌트 단자(하나는 BNC 타입)와 VGA 단자, 그리고 M1-DA라는 인포커스 특유의 DVI 단자가 달려 있다.

M1-DA는 필요한 어댑터를 장착해서 DVI 및 HDMI, RGB와 컴포넌트 등을 받을 수 있고 USB 연결도 가능하게 한다.

인포커스 홈시어터 라인업인 스크린플레이 시리즈의 저가형 모델 중 하나인 4805를 최근에 평가한 적이 있는데 처음 보고선 실소를 금하기 어려웠던 것은 미화 3만 달러인 777과 미화 1500 달러인 스크린플레이 4805의 메뉴 디자인, 리모컨이 같다는 점이었다.

샤프나 삼성의 깔끔함에 익숙해진 사람들에겐 실용성에서는 몰라도 리모컨에 이어 메뉴 인터페이스마저 전 라인업이 동일한 것은 너무 수수해 보이기까지 하다.

색 영역을 SMPTE_C(NTSC), REC 709(HD), EBU(유럽), 그리고 맥시멈(TI DLP Cinema P7 v2)으로 설정하는 것이나 색온도를 6500K, 7500K, 9300K에 정할 수 있는 점, 감마를 CRT, 필름 등으로 나눈 것 등 대부분의 메뉴 항목들도 4805와 거의 동일하다.

그 밖에 줌, 포커싱, 렌즈 쉬프트 등 777만의 고유 기능은 리모컨에 따로 표시를 안 했으므로 사용법을 미리 숙지해야 한다.

당시에 필자는 밝기를 줄이기 위해 777의 PDF 파일로 브로슈어를 다운 받았으나 옵션이나 액세서리 어디에도 광량 감소용 뉴트럴 필터의 이야기는 없었다.(PDF 브로슈어는 여기에 다시 올렸으므로 참고할 분은 다운 받을 수 있다.)
그걸 읽고 “옵션에는 무려 일곱 종류의 렌즈가 있는데 그 중에는 줌이나 렌즈 쉬프트가 안 되는 것도 2개나 있으므로 잘 알아보고 구입해야 하며 광량 조절용 필터 등의 옵션은 없는 것 같다."라고 썼는데 이번 테스트에는 ND 필터를 사용했다.

밝기와 컨트라스트

Without Filter(오리지널 리뷰)

제품 사양을 보면 컨트라스트비가 3000:1이라고 표기되어 있고 괄호안에 “Video Calibrated"라고 덧붙인다. 이는 여타의 브랜드처럼 수치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 비현실적인 설정을 통한 측정이 아니라 실제로 감상하기에 최적의 상태로 세팅한 후에 진짜 On/Off로 3000:1이 나온다는 이야기이다.

한 화면에서 블랙과 화이트를 동시에 재는 방식인 ANSI 컨트라스트비는 아니지만 근래에 런코나 파루쟈, 비디크론 등 하이엔드를 표방하는 몇몇 브랜드들은 캘리브레이션 이후의 최적 세팅에서 얻은 On/Off 컨트라스트비를 제품 사양으로 발표하는 사례가 늘고 있고 인포커스도 스크린플레이 7205 등 단판식 상급기종부터는 리얼 컨트라스트비로 표기한다.

777의 경우는 필터를 끼지 않고는 첫눈에도 너무 밝기 때문에 스크린 크기의 조절 등 다른 요소를 병행하지 않고는 100인치 정도의 스크린에서 일반적인 밝기와 컨트라스트 세팅만으로는 적절하게 맞추기 힘이 들어 보이고 밝기의 유니포미티도 주변에서 약간 떨어진다.

단적으로 말해 2000안시 루멘의 밝기는 777에 있어 양날의 칼로 작용된다.

777을 테스트하다가 삼성 DLP로 바꾸었더니 눈이 적응이 안 될 정도라 삼성을 다시 정상적으로 보려면 777의 영상을 잊기 위해 상당 시간 휴식이 필요할 정도이다.
또한 어두운 장면에서 갑자기 밝은 장면으로 전환되면 눈의 홍채가 적응을 못해 한동안 눈부심을 참아야 할 정도이며 블랙 레벨도 단판식에 비해서 높다.

브라이트니스 조정을 통해 밝기를 더 낮추면 암부의 계조가 뭉개지므로 블랙을 더 낮추려면 스크린 크기를 늘리거나 게인이 낮은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데 시청거리가 확보된 상태라면 화질 저하를 줄이기 위해 스크린 사이즈를 늘리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100인치 16x9 화면비에 게인 1.3인 스튜어트 스튜디오텍 130 스크린을 사용하고 컨트라스트를 40으로 낮춰도 측정된 광량은 51.5fL였다.

측정에는 미놀타 CS-100A와 밀로리 트라이크로맷1 트라이스티뮬러스 센서를 병행 사용하였다.

화면을 스크린 테두리밖으로 늘려 120인치 정도로 사이즈를 키우면 39fL로 떨어진다.

이때 블랙은 0.014fL로 화이트의 39fL와 단순하게 계산해 보면 대충 2785:1 정도가 나오므로 3000:1은 결코 과장된 수치가 아니라고 하겠다.

100인치 스크린을 200인치로 늘리면 밝기가 대략 1/4로 떨어진다고 보고 지루하겠지만 산술적 계산을 좀 더 계속해서 예를 들겠다.

100인치에서 피크 화이트가 51.5fL였으므로 200인치에서는 12.875fL, 즉 디지털 시네마 권장 밝기인 12fL에 가까운 최적의 밝기가 나온다.

100인치에서 0.018fL인 블랙도 0.005이하로 같이 내려간다고 가정할 때 그야 말로 200인치 스크린에서는 최적의 영상을 보여줄 것이라는 계산이 가능하다.

100인치에서 0.018 푸트램버트라는 블랙의 깊이를 좀 더 쉽게 설명하려면 현재 필자가 직접 같은 측정기, 같은 방식으로 측정해 본 다른 제품들과 비교하는 것이 대략 짐작으로 이해가 되겠다.

단판식 HD2+ 패널 사용 제품인 삼성 SP-H700AK의 블랙이 0.007fL이고 샤프 Z12000이나 미쯔비시 LVP-D2010, 옵토마 H77등 동급 제품들이 0.005fL-0.011fL 정도에서 블랙이 형성된다.

HD2나 매터호른 등 HD2+보다 하위 패널을 사용한 제품들이 0.012fL에서 0.023fL 정도라고 볼 때 100인치에서 0.013fL가 측정된 삼성 SP-500AK보다 블랙이 뜨고 0.021fL인 샤프 Z201과 0.022fL가 나오는 인포커스 스크린플레이 4805와 비슷한 정도의 블랙이라고 볼 수 있다.

대신 이런 단판식 기기들은 스크린 사이즈를 늘리면 블랙은 더 내려가지만 비슷한 비율로 밝기도 같이 떨어지므로 150인치 이상은 무리라고 하겠으나 777은 블랙의 깊이는 제쳐두고도 넘치는 밝기를 잡기 위해서도 200 인치급 큰 스크린을 필자가 계속 언급하는 것이다.

실제로 777을 컨트라스트 40에 놓고 150인치에 투사한다고 가정하면 20fL대로 떨어지며 얼마 전에 필자가 동료들과 시도했던 미쯔비시 LVP-D2010의 더블 스태킹한 밝기와 비슷해질 것이라고 본다.

어쨌든 100인치 스크린에서는 너무 밝아서 고민하다가 컨트라스트를 18로 내렸고 이때 26.8fL가 미놀타로 측정되며 색이나 그레이스케일의 열화는 심하지 않으므로 이후의 모든 측정과 감상은 이 세팅을 사용했다.

단지 컨트라스트만 낮춰서는 피크 광량이 감소할 뿐 블랙의 깊이는 거의 변화가 없으므로 컨트라스트비율은 1914:1 정도로 떨어진다.이 세팅으로는 120인치 스크린에서도 밝기가 20fL 이하로 내려갈 것도 같으나 블랙 레벨이 여전히 높을 것이다.

깊은 블랙과 함께 3000:1의 비율로 제대로 감상하려면 색감과 계조, 다이나믹 레인지가 최적의 세팅인 컨트라스트 40에서 50 사이에 맞추고 스크린 사이즈를 최소한 150-200인치로 늘리거나, 혹시 가능하면 필터 등을 사용해 전체 광량으로 블랙과 밝은 쪽을 동시에 낮추는 수밖에 없다.

777의 광량은 2000 ANSI 루멘에 고정되어 있는데 이는 일반 가정용으로서는 너무 밝은 수치이며 마란츠 VP-10S1와 같이 저광량 모드에서 1000 ANSI 루멘, 하이 모드에서 1200 ANSI 루멘으로 램프 밝기를 바꿔 설정할 수 없다는 점은 대단히 아쉬운 대목이다.

혹시 서비스 모드에서는 광량 조절이 가능할지 모르지만 진입 코드를 몰라서 시도해 보지 못했고 필자가 예상하기엔 서비스 모드에서도 광량 조절이 안 될 공산이 크다.

필터 장착후(2005년 1월)

인포커스에서 추천한 ND필터(Tokina MC ND2 72mm 필터)를 장착하면 광량이 상당히 감소한다. 스튜어트 스튜디오텍 130 100인치 스크린에서도 100 IRE 피크 화이트 필드에서 27.9 fL가 측정되었다.

컨트라스트비는 필터 없이 쟀을 때의 2785:1보다도 더 나와서 블랙 레벨과 컨트라스트를 DVE 타이틀을 통해 알맞게 세팅한 상태에서도 같은 스크린에서 3077:1이 나왔다(White 92.3 cd/m²-칸델라, Black 0.03 cd/m²) .
즉 3077:1이란 수치는 마케팅을 위한 수치가 아니라 최적으로 블랙과 화이트레벨 조정이 끝난 상태에서 리얼 on/off 컨트라스트 비율이다.
물론 2800:1이나 3000:1이나 이미 이 정도가 나오는 상태에서 큰 차이는 아닐 수 있고 오차가 있을 수 있지만(피크 화이트 레벨 조정시에 측정치는 27.9fL였고 컨트라스트 측정시에는 27.6fL가 읽혔었다) 51fL에서 28fL로 광량이 감소하면서 시각적으로 블랙이 확 가라 앉았으므로 체감상 느끼는 컨트라스트감은 확실하게 증가된다.

참고로 필자가 다른 제품을 비교 평가하는 레퍼런스로 사용중인 삼성 700AK의 경우는 블랙과 화이트레벨을 적절하게 조절한 후에 필자가 측정한 최대 수치는 1600:1이 조금 넘는다.
단지 필자의 700AK보다 on/off시 블랙의 깊이는 777이 덜 내려간다.

그러나 필자는 삼성을 100인치에서 11.8fL 정도로 맞춰 놓았으므로 아직도 28fL 가까이 나오는 777을 150인치로 늘리든지, 미친척하고 필터를 하나 더 끼든지(물론 농담이다), 123인치짜리 0.92 게인인 스튜어트 그레이호크 RS 스크린을 쓴다면 적당하고 펀치력 있는 밝기가 유지되면서도 블랙은 삼성보다 아래로 더욱 내려 갈 것이다.

색감, 계조 및 그레이스케일

색정확도(Color Accuracy)

레드, 그린, 블루의 필드 패턴을 차례로 띄우고 컬러 애널라이저로 분석하면 777의 색영역은 대단히 우수하다.
CIE 그래프의 색 영역을 보면 녹색은 거의 맞으며 레드는 미세하게 틀어졌지만 블루는 정확하게 겹쳐진다.

그레이스케일 트래킹

20 IRE에서 100 IRE에 이르는 대역에서 색온도 변화가 거의 없고 원래의 RGB 밸런스를 거의 그대로 유지한다.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그레이스케일의 경우도 대단히 평탄하고 잘 맞는 편인데 6500K에 설정할 경우 이보다 약간 낮게 형성된다.
최근 발표된 DLP 시네마 P7 버전 2 컬러 레퍼런스에 따르면 D65인 x=0.313, y=0.329 좌표가 아닌 x=0.314, y=0.351의 6300K에 맞추기를 권장하고 있는데 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의도적으로 이를 따른 것인지 아니면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됐는지 모르지만 초기 설정에서는 이 값에 더 가까웠다.

IRE

x

y

Y(루미넌스-fL)

K(켈빈-색온도)

20

0.309

0.388

0.26

6334

30

0.315

0.359

1.35

6220

40

0.316

0.353

2.68

6202

50

0.314

0.351

4.73

6302

60

0.313

0.349

7.51

6359

70

0.314

0.348

10.6

6317

80

0.313

0.347

15.2

6370

90

0.313

0.346

20.3

6376

100

0.313

0.346

26.6

6376

DVI로 연결한 경우 소스 출력과 디스플레이 입력이 PC 레벨의 0-255와 비디오 레벨의 16-235 계조 단계가 일치하지 않으면 계조가 끊어지는 밴딩/컨투어링 현상은 대부분의 프로젝터에서 다반사로 생긴다.
이때 컨트라스트 값을 미세하게 바꾸면 끊어지는 포인트도 계속 변화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한데 리콜 전의 777처럼 DVI가 아닌 아날로그 컴포넌트 입력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드문 경우이며 심각한 약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번에 본 777은 DVE 타이틀 12, 챕터 14의 테스트 패턴상으로는 여태껏 보아온 DLP 중 최상급으로 바뀌어졌다.
DLP 프로젝터 중에서 미세하게 옆으로 변하는 계조 변화에 밴딩이 거의 안생기는 제품으로는 의외로 삼성이나 미쯔비시, 샤프 Z12000 등이 아니라 매터호른 패널의 바코의 시네버숨 60과 저가형인 LG JT-92이었다.
(반면에 바코 시네버숨 60의 상급기인 시네버숨 70도 상당히 안좋은 편이었으며 이것도 펌웨어 패치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고 그밖에도 불만이 많았으므로 리뷰를 싣지 않은 채 사장시킨 케이스이다. 60의 영상으로 보건데 70도 다시 맞춰졌을 것이 확실하다고 본다)

실제 영상

지난 8월

<히달고>의 챕터 8을 보면 비고 모르텐슨이 모래 폭풍에 쫓기며 폐허로 피한 후 유적지 안으로 몰아친 모래 먼지에서 계조가 끊어지며 심각한 컨투어링(등고선) 현상이 감지되었었다.
뿐만 아니라 챕터 8 앞 부분을 비롯해서 사막과 함께 자주 등장하는 하늘이나 모래, 하늘에서 계조 연결에 심각한 문제점을 보였었다.

삼성 DLP에서는 문제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DVD 소스 자체의 결함은 아니고 777의 프로세싱 문제가 확실했다.

이러한 문제는 <니모를 찾아서>의 물결의 미세한 계조 변화에서도 약점을 보였다.

또한 3판식임에도 불구하고 전체 노이즈와 어두운 부분에서 지글거리는 디더링 노이즈도 다소 높으며 가끔 수직으로 밴딩도 보였다.

<스파이더맨>, <할로우 맨>, <영웅> 등을 보면 피부색이나 선명도가 대단히 우수하지만 어두운 장면에서는 불만이었다.

특히 높은 블랙 레벨로 인해 영화 전편이 어두운 분위기인 <언더월드>나 <블레이드2> 등을 100인치로 보기엔 적합하지 않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100인치 이하의 스크린에서는 간혹 보이는 무지개 현상만 제외하고는 천만원 이하인 삼성, 샤프, 미쯔비시 등 단판식 HD2+ 제품보다 못한 화질이다.

물론 브라운관 TV보다 밝은 120인치 화면을 원하고 낮에도 커튼을 열고 보거나 밤에도 불 켜고 볼 수 있는 프로젝터를 바란다면 모르겠지만 말이다.

밝은 장면에서는 넘치는 임팩트감이 돋보이며 비교를 위해 같은 장면을 단판식과 비교 투사하면 마치 대낮과 초저녁의 차이 같은 느낌이다.

표를 보면 알겠지만 컨트라스트를 상당히 낮췄음에도 불구하고 80 IRE 그레이의 밝기가 필자가 보통 보는 100 IRE의 풀 화이트보다도 밝다.

반면에 색의 깊이와 정확도는 대단히 우수해서 생생하고 자연스러운 색감을 나타내며 <니모>와 아빠의 몸통 색, <영웅>에서 비설과 여월의 대결 장면에서의 붉은 옷, <할로우맨>의 주황빛 감도는 주사약 등 미묘한 차이도 무리 없이 구분한다.

2005년 1월

계조 문제는 확실하게 고쳤다.
컴포넌트 영상과 DVI 연결 모두 삼성 700AK보다 뛰어나지는 못해도 적어도 대등한 수준의 계조 효현이다.
테스트 패턴상으로는 삼성보다 우수하지만 실제 영상에서는 삼성 수준이다.
<히달고>에서 모래 폭풍은 완벽했고 하늘에서는 아주 미세하게 계조가 끊기지만 신경 쓰일 정도는 아니다(이 부분에서 삼성은 매끄럽다).
대신 DVE의 레스토랑 장면에서 여자 얼굴에서의 계조 변화에서는 삼성보다 약간 더 매끄럽다.
<아이, 로봇>이나 <버티컬 리미트>도 샤프하면서 깊은 색감, 높은 컨트라스트를 보인다.

테스트 패턴상으로는 주변부에서 색이 미세하게 어긋남을 알 수 있지만 이는 세 개의 패널 컨버전스가 틀어진 것이 아니라 렌즈의 색수차인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렌즈는 이미 말했듯이 최상급이며 기존 제품 중에서 색수차 문제로는 가장 우수한 제품 중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실제 영상에서는 색수차나 컨버전스 문제는 전혀 느낄 수 없을 정도이다.
스크린에 1m 정도로 접근하면 자막에서 아주 미세하게 느껴질 정도이다.

렌즈가 좋다고 했는데 포커싱도 대단히 우수하다.
렌즈 부분에 국한하면 그다지 뛰어나다고 말할 수 없는 삼성에 비해서 선명도에서 차이가 있다.
게다가 렌즈 옵션에 따라 알맞게 구매하면 투사거리를 길 게 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으로부터 재반사된 빛이 렌즈로 들어가는 방해를 줄일 수 있으므로 on/off 컨트라스트뿐 아니라 ANSI 컨트라스트도 단초점인 삼성에 비해 비약적으로 좋다.
물론 렌즈 뿐 아니라 ANSI 컨트라스트를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인 컬러휠을 사용하지 않는 것도 요인일 것이다.
이런 이유로 HD2+인 삼성 700AK에 비해 HD2를 사용하면서도 On/off 컨트라스트 뿐 아니라 ANSI 컨트라스트에서도 확실하게 앞서는 이유일 것이다.

노이즈 문제나 화면의 투명도도 삼성에 비해 분명히 한 등급 위이다.
그리고 삼성에 비해 두 배 이상의 밝기임에도 불구하고 장시간 시청 후에 눈이 덜 피로하다.
필자는 동료들 중에서도 DLP의 무지개(CSA)에 가장 민감한 사람 중에 하나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10분만 보면 머리가 아프다던가 어지럽다는 정도는 아닌데 확실히 무지개가 원천적으로 없는 삼판식은 상당한 밝기임에도 눈이 편함을 느꼈다.

HD는 블루 레이 디스크로 감상했는데 <해신>과 다큐멘터리를 몇 개 감상했다.
파루쟈 DCDi를 사용하지만 기존 프로젝터 내장 스케일러의 99%와 마찬가지로 777도 역시 1080i->1080p->720p로 처리가 아니라 1080i->540p->720p 처리과정이다.
따라서 가까이서 보면 HD 영상에서도 인터레이싱 아티펙트가 미세하게나마 보이는 것도 다른 제품들과 동일하다.
또한 영화 소스의 경우 2-3 풀다운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완벽하게 하나의 프로그레시브 프레임으로 합쳐지지 않지만 워낙 기본 해상도가 높으므로 실제로는 잘 감지되지 않는다.
이것은 같은 가격대에 같은 파루쟈를 사용하는 JVC의 풀 HD 스펙의 D-ILA HD2K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HD2K와는 달리 720p의 해상도에서는 540p->1080p보다 540p->720p의 해상도 손실 비율은 더 적다.

HD 영상의 임팩트는 대단히 훌륭하다.
뛰어난 입체감과 깊은 색감으로 선명한 영상을 구현해서 단판식 DLP들 보다 우수한 그림을 보여준다.

즉 계조 문제가 해결되고 필터로 어느 정도 광량을 낮춘 상태에서는 삼성보다 훨씬 임팩트와 펀치감이 넘치는 훌륭한 컨트라스트의 영상에 더해서 삼성에 버금가는 색 정확도를 지닌 영상이다.
또한 노이즈와 투명감에서도 앞선다.

한 가지 추가할 것은 디폴트 세팅시의 DVI 영상과 컴포넌트 영상에서 DVI쪽이 확실하게 좋다는 점이다.
선명도나 투명성은 물론이고 색감과 그레이스케일에서도 DVI쪽이 앞선다.
그러나 컴포넌트 영상도 세심한 조정을 하면 색감과 그레이스케일의 조정이 가능하다.

요약

지난 8월

한마디로 최소한 150인치 이상의 화면으로 볼 수 없다면(사실은 200 인치를 권하고 싶지만), 그리고 화면이 커지면 시청거리도 멀어져야 하므로 아무나 덜컥 들여 놓아선 안 되는 제품이다.

물론 777을 구입할 수 있는 재력이라면 커다란 스크린과 넓은 시청실까지도 커버할 수 있다고 예상되므로 대충 해결이 될지도 모르겠다.

최대로 120 인치 정도의 스크린이 간신히 나올 수 있는 환경이라면 단판식이 더 나은 결과이다. 물론 미세한 단판식의 컬러 브레이킹 무지개도 절대 참을 수 없고 다른 LCD나 삼관식도 싫다면 어쩔 수 없겠지만 말이다.

역으로 말해 충분한 공간과 대형 스크린의 경우 깊은 블랙과 높은 휘도, 정확한 색상은 대단한 강점을 지닌다. 단지 계조 표현 능력은 여전히 심각한 약점이고 업데이트나 패치를 통해 개선되었으면 한다.

최종 결론-2005년 1월

어느 정도 뻗댄 감이 없지 않지만 긍정적인 리뷰와 Follow Up을 올릴 수 있게 되어 필자도 기쁘다.

여전히 이 제품의 최상의 성능을 끌어 내려면 필터 없이 200인치 이상의 스튜어트 스크린에서 최소한 10미터 이상 떨어져서 보는 것이 적합하다고 본다.
(화면이 커지면 1280x720의 해상도는 거슬릴 수 있기 때문에 시청 거리는 중요하다).

그러나 필터를 사용하면 150인치 HD130이나 123 인치 Grayhawk RS에서도 훌륭한 영상이 나올 것으로 본다.
4300만원짜리 프로젝터에 스튜어트 이외의 스크린을 추천할 생각이 별로 없다.

다시 말하면 이런 고가의 프로젝터가 몇 대나 팔릴지 모르지만 예산만 넉넉하면 더 이상 재력의 우월감이나 사치심 만족에만 적합한 제품이 아니라 성능상으로 충분히 그 가격이 납득할 만한 기기라는 말이다.

'프로젝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RD-JT92 DLP 프로젝터  (0) 2006.05.19
히타치 CP-S210 LCD 프로젝터  (0) 2006.05.19
인포커스 Screenplay 4805 DLP 프로젝터  (0) 2006.05.19
파나소닉 PT-AE900 LCD 프로젝터  (0) 2006.05.19
산요 PLV-Z4 LCD 프로젝터  (0) 2006.05.19